Transmission Medium(전송매체)
Transmission Medium
: 데이터 전송의 특성은 전송 매체와 신호에 따라 달라진다.
- guided medium(유선 전송)
- 주로 전송 매체에 의존한다.
- unguided medium(무선 전송)
- 주파수 폭에 의존한다.
데이터 속도와 거리를 정하는 요소
- badnwidth(주파수 폭) : 주파수 폭이 클 수록 전송 속도가 높아진다.
- attenuation(감쇄 효과) : 신호의 세기가 갈수록 줄어든다.
- 유선 전송인 경우 감쇄효과는 크지 않다.
- 무선 전송의 경우 전송 중에 낭비되는 에너지가 크다.
- 특정한 방향이 아닌, 모든 방향으로 전달하는 주파수 이기 때문
- interfernce(간섭)
- 신호 전송 시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다.
- 이로 인해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.
- 하지만 유선의 경우 노이즈가 별로 없다.
Twisted Pair
UTP(Unshielded twisted pair(UTP) 케이블
- 절연체로 감싼 두 개의 컨덕터(tx, rx)로 이루어져있다.
-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2-12 twists per foot 만큼 꼬아준다.
STP 케이블
- 피복을 씌운 선이 두 개로 감겨있다.
- 크로스트크현상?을 줄일 수 있다.
- 크로스트크? : 하나의 신호가 인접한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.
- 음성 신호, 전화선,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된다.
Coaxial
- 케이블 표준
- RG-8, 9, 11: 두꺼운 Ethernet
- RG-58: 얇은 Ethernet
- RG-59: TV
- 주파수 폭 : 100KHz-500MHz
- 대역폭이 STP보다 크다
- 전송속도가 크다
- 대역폭이 STP보다 크다
- Connector
- AUI connector : 두꺼운 Ethernet
- 외부의 영향을 차단한다.
- BNC connector : 얇은 Ethernet
- AUI connector : 두꺼운 Ethernet
Optical Fiber
- 신호를 빛의 형태로 바꿔주는 유리/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.
- 진공에서 초속 300,000km
- 전송매체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속도가 줄어든다.
- 빛의 특성을 가진다
- 굴절성
- 직진성
Unguided Media
- 무선 통신이다.
- 주파수에 따라 전해지는 특성이 다르다
- 저주파일 수록 장애물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
- 고주파의 경우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해버린다.
- 주파수의 대역마다 사용하는 용도를 나누어 할당한다.
Wireless Propagation
GroundWave(지상파)
- 저주파의 경우 휘거나 터널이나 지하로도 전파가 가능하다.
- 지구의 윤곽을 따라 전파가 휘어 먼 거리 까지 전파할 수 있다.
- 최대 2MHz 에서 일어난다.
- ex : AM 라디오
Sky Wave(공중파)
- 고주파의 경우 직진성을 가져 장애물에서 반사가 된다.
- 상층 대기의 이온화 층에서 지구로 다시 반사된다.
- ex : 국제 방송과 같은 라디오, 단파 라디오 방송 등
Line of sight(LOS)
- 장애물 없이 송신/수신 안테나가 마주보고 있는 것
-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제약이 있다.
- 30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.
Radiation Pttern
- 모든 방향으로 전송하면 전력이 사방으로 퍼진다.
- 사방으로 골고루 퍼지는 것은 아님
- Omni directional 안테나
- 모든 방향으로 전송한다.
- 구체의 전파 패턴으로 모든 방향에 고르게 전파한다.
- Directional 안테나
- 한 방향으로만 몰아서 전송한다.
- 전송 거리가 늘어난다.
Statellite Communication(위성 통신)
- Geosynchronous satellite
- LOS를 활용하여 지상의 송신기들과 연결한다.
- 빠른 통신을 위해 위성 각속도가 지구의 자전 각속도와 동일해야한다.
- 위성이 항상 지구의 같은 지상 위에 존재하도록 움직인다.
- 36,000km 상공의 궤도를 돈다.
- 전 세계와의 통신을 위해 3개의 인공위성이 필요하다.
Multipath Interference
- Multi-path components
- multi-path fading
- 동일한 신호가 여러 경로에서 반사되어 들어온다.
- line of sight 외의 신호들은 크기나 위상이 서로 달라진다.
- 원래 신호에 간섭이 되어 버린다.
Analog and Digital Signals
Signal
- Analog signal
- 값의 종류가 무한대이다(연속적이다).
- Digital signal
- 값의 종류가 한정되어있다.
Periodic and Aperiodic Signals
Periodic signal(주기 신호)
- 신호 패턴이 주기에 따라 반복된다.
- Perod(주기, T) : 사이클이 반복되는 시간
- Frequency(주파수, F) : 단위 시간 당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
- 주기와 역 관계에 있다.
Aperiodic Signal(비주기 신호)
- 반복되는 패턴이 없다.
- 푸리에 변환 : 어떤 비주기적 신호도 무한한 수의 주기적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.
Analog Signals
- sine 파동은 amplitude, period(or frquency), and phase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.
- Amplitude : 어떤 한 점에서 신호의 값
- Period(sec) : 사이클이 한 번 돌 때 까지의 시간
- Frequency(Hz) : 1초에 반복되는 주기의 수
Phase(degrees, radians) : 위상
- 시간이 0일 때 파동의 위치
Time and Frquency Domains
- Time domain : 진폭과 시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.
- Frequency domain : 진폭과 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.
Composite Signals
harmonic signals
- 디지털 신호는 무한한 수의 홀수 개의 harmonic signals로 이루어져있다.
- 아날로그 신호의 합으로 디지털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.
- 하나의 신호 안에 주파수가 무한대이다
- 정해진 만큼만 보낸다.
- 하나의 신호를 보내기 위해 많은 대역폭을 소비한다.
-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든다.
bandwidth vs data rate
- 여러개의 harmonic signal을 전송할 때
- bandwidth는 최대 진동수와 최소 진동수의 차 이다
- ex : (f, 3f, 5f)의 경우 bandwidth = 4f
- 한 주기에 2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.
- data rate(bps) = 2*f
Frequency Spectrum and Bandwidth
- Frequency spectrum : 모든 frequency 컴포넌트의 모음
- bandwidth : 전체 frequency의 폭
- 신호 세기가 낮은 frequency 부분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대역폭이 줄어들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.
Digital Signal
- 두 개의 신호 요소를 두어 0 또는 1을 주고받는다.
- Bit interval : 한 비트가 전송 되는 간격
- Bit rate : 단위시간당 전송 되는 비트 수
Encoding and Modulation
-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Encoding하고 0, 또는 1의 값으로 Decoding 한다.
- 데이터의 신호 변환 종류
- 디지털→디지털 변환
- 아날로그→디지털 변환
- 디지털→아날로그 변환
- 아날로그→아날로그 변환
Encoding
Terminology
- unipolar : 같은 신호를 가지는 모든 신호 요소
- polar : 포지티브 전기와 네거티브 전기에 의해 표현되는 논리 상태
- data rate(bps) : 데이터가 이동되는 수치
- duration or lenth of a bit
- modulation rate(baud) : 단위 사간당 전송하는 신호의 수
- modulation rate와 date rate는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.
- 이진 데이터 전송에서 modulation rate가 k 배가 되면 date rate는 $2^k$배 늘어남
- mark and space : 이진 1과 0
디지털-디지털 변환
: 두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통해 0과 1의 이진 신호를 표현한다.
Unipolar
- 1 또는 0의 양극성 데이터만을 전송한다.
- dc-component :
- dc-component를 없애주는게 좋다
- synchronization 동기화 문제
- clock skew(drift) : 송신자가 비트를 보내는 시간과 수신자가 비트를 인식하는 시간에 차이가 날 수 있다.
- ppm(part per million) : 백만 클럭마다 한 비트가 빨리가거나 늦게 갈 수 있음을 표현하는 단위
- 시간이 많이 지나고 클럭 수가 점점 차이 나게 되면 비트를 잘못 읽어들일 수 있다.
- 엣지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다시 동기화 해준다.
- 송신자 클럭과 수신자 클럭이 같아지도록 한다.
- 엣지가 발생하지 않는 신호의 경우 동기화가 어렵다.
- 일정 시간 내에 반드시 엣지가 발생하도록 인코딩 하는 방법이 있다
- clock skew(drift) : 송신자가 비트를 보내는 시간과 수신자가 비트를 인식하는 시간에 차이가 날 수 있다.
NRZ
- NRZ-L
- 감쇄현상이 발생해 레벨 값이 불분명해질 수 있음
- NRZ-I 인코딩
- 레벨 체인지가 일어나면 1, 일어나지 않으면 0
- 감쇄현상이 줄어든다.
- 비트가 0으로 계속되면 비트 시작점을 찾기가 어려워 동기화가 힘들다
Biphase
- 동기화 문제 해결
- 절반 비트 단위로 결정한다.
- manchester
- 비트 중앙에서 레벨 체인지가 발생
- 음수에서 양수로의 전환 : 1
- 양수에서 음수로의 전환 : 0
- 매 비트마다 레벨 체인지가 발생하도록 한다.
- 비트 중앙에서 레벨 체인지가 발생
- differential manchster
- 비트 시작점에서 트랜지션(레벨체인지)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인코딩
- 트랜지션 있으면 0, 없으면 1
- 비트 중앙에서는 반드시 레벨체인지가 일어난다.
- 동기화를 위한 것
- 단점
- 매 비트가 0일 때 레벨 체인지가 두 번씩이나 발생한다.
- 비트 시작점에서 트랜지션(레벨체인지)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인코딩
Bipolar
- 0: 0볼트
- 1: +볼트 또는 -볼트
- 인접한 볼트와는 다른 값을 가지도록 한다.
- dc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는다.
- 평균 볼트가 0?
- 0 비트가 계속되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한다.
MLT-3
- 0, +, - 세 가지 활용
- 0: 레벨 체인지 없음
- 1: 레벨체인지
- 번갈아가며 -로 바뀌거나 +로 바뀜
- 데이터가 0이 계속 전송되면 동기화 지점을 찾기 힘들다
4B/5B 인코딩
- 4비트를 5비트로 바꾸어 연속적인 0비트 흐름을 없앤다
-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
Analog-to-Digital Conversion
PCM(Pulse Code Modulation)
- ex: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전송할 때 사용
- 아날로그의 경우 값이 무한개이다.
- Sampling :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값을 나누어 추출한다.
- 더 잘게 나눌 수록 원래 아날로그 값에 가까워지지만 보내야 할 샘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.
- ⇒ 원래 아날로그 정보를 되도록 손실 없도록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샘플링 할 수 있도록 한다.
- Sampling Rate : Nyquist theorem
- 아날로그 신호 최대 주파수의 2배로 샘플링을 한다.
- 비트 수 : 샘플링 수 * 샘플 당 비트의 수
- Quantization : 최소값과 최대값을 일정한 단계로 나눈다.(255단계)
- 일정한 시간에 측정된 무한한 아날로그 수를 정해진 정수 값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까운 쪽으로 근사시킨다. (반올림 시킨다고 생각)
- binary encoding : 각각의 값들을 2진수로 표현한다.
Linear and non-linear encoding
- 값의 변화가 적을 때 : non-linear encoding이 더 정확하다
Digital-to-Analog Conversion
- Carrier signal : 중심이 되는 신호
- 변환 방법 : 중심 신호(carrier frequency, $f_c$)를 이용해 데이터를 변환한다.
- ASK : 값의 크기
- FSK :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해 변환
- PSK : 위상을 달리 해서 디지털 데이터 표현
- QAM : 위의 세 방법을 결합해서 쓴다
Bit Rate and Baud Rate
- Baud rate
-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초당 신호 유닛의 개수
- Bit rate
- 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
- Baud rate x 신호 요소 당 비트의 수
- 주로 Baud ≤ Bit rate
ASK(Amplitude Shift Keying)
: 값의 크기를 가지고 0과 1을 표현
- 진폭이 작으면 0, 크면 1
- on-off keying : 0일 때 아예 진폭이 없는 신호
- 전송하며 값이 줄어들기 때문에 감쇄 현상이 발생한다.
FSK(Frequency-Shift Keying)
: 주파수로 1과 0 표현
- 전송이 되면서도 주파수는 변하지 않는다.
- 감쇄현상이 적다.
- 그러나 이동하면서 전송하는 경우 :
- 주파수가 변해버린다. ⇒ 도플러 효과
PSK(Phase-Shift Keying)
: 위상 변화로 표현
- 0은 0도에서, 1은 180도에서 시작한다.
- 위상이 많아지면 신호의 수도 많아진다.
- BPSK : 2개의 각도를 사용해 2 종류의 신호를 보낸다.
- QPSK : 4개의 각도를 사용해 4 종류의 신호를 보낸다.
QAM
- ASK, PSK를 함께 자주 사용한다.
Error Detection
- single-bit error
- 데이터 유닛에서 한 비트가 바뀐 경우
- 평행 통신에서 자주 발생한다.
- burst error
- 데이터 유닛에서 두 개 이상의 비트가 바뀐 경우
- 연속적인 통신에서 자주 일어난다.
- Length fo burst error : 가장 오른쪽 에러비트부터 가장 왼쪽 에러 비트 까지의 길이
- 노이즈가 발생한 순간에 전송된 비트가 영향을 받는다.
error derection
- 수신된 비트의 에러를 확인하려면 전송하는 n-bit 데이터 뿐만이 아니라 error check code를 추가로 붙여준다
- error check code : 에러가 있는지 검출하는 값
- 이를 확인해서 수신된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.
- 에러의 위치까지는 알 수 없음
- error detection code : 에러가 존재하는지 확인
- 해당 신호는 버림
- error correction code : 에러가 어디에 존재하는지 확인
- 에러를 수정하여 사용
- 오버헤드가 커져 자주 사용하진 않는다.
VRC(Vertical Redundancy Check)
Parity check
- parity 비트는 모든 데이터 유닛에 추가된다.
- odd parity : 1인 비트 수가 홀수개가 되도록 함
- even parity : 7비트를 전송할 때 parity비트를 추가하여 1인 비트의 수를 짝수개가 되도록 하여 전송
- 송신자는 1인 비트의 수를 세어 짝수개면 정상, 홀수 개면 에러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- 비트 두 개가 에러가 나면 검출해내지 못한다.
LRC
- 일정한 길이의 비트로 쪼개어 세로로 나열한 뒤, 대응되는 비트끼리 계산해 parity code를 보낸다.
- burst error가 쉽게 고쳐질 수 있다.
- 2-D parity check : VRC와 LRC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CRC(Cyclic Redundancy Check)
- 이진 나눗셈에 기반한다.
- M: k비트 메시지
- F : n비트 FCS(프레임 체크 시퀀스)
- P : (n+1) 비트의 미리 정해진 나누는 수
- F : $(M*2^n/P)$의 나머지
- T : (M | F); (k+n) 비트의 전송 데이터
- divisor에 따라 에러 검출능력이 많이 달라진다.
- 나눗셈을 해서 나머지가 0이면 에러가 없다는 것
- 이진 나눗셈으로 계산한다.
- xor로 뺄셈한다
- polynomial notation
- 변수가 x인 다항식의 계수로 표현
- CRC generator
- : 이진 나눗셈에 기반한다
- CRC checker
- (Received data) / P
- R이 0이 아닌 경우 에러
- Polynomial notation(다항식 개념)
- divisor polynomial
- x에 관한 다항식으로 표현된다.
Checksum
-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.(인터넷 checksum)
- 송신
- 데이터를 각각 n 비트인 k 개의 섹션으로 나눈다.
- 합계를 구하기 위해 모든 섹션을 1의 보수를 이용해 더한다.
- checksum : 합계의 보수(complement)
- 데이터와 checksum을 보낸다
- 수신
- 데이터를 각각 n 비트인 k 개의 섹션으로 나눈다.
- 합계를 구하기 위해 모든 섹션을 1의 보수를 이용해 더한다.
- 합계의 보수를 취한 후 결과가 0이면 에러
-
'CS 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이터통신] 1. 데이터 통신 기본 (0) | 2025.03.03 |
---|